공지사항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의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보도자료
세종대·동국대·대전대·제주대·제주한라대와 '혁신융합대학 사업' 컨소시엄 구성, 선정
첨단분야 혁신 인재 육성 상호 협력 및 제주 런케이션 활성화 지원
제주특별자치도와 세종대·동국대·대전대·제주대·제주한라대가 사물인터넷(IoT)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제주도는 지난 12일 오전 제주썬호텔 더 볼룸에서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기관장협의회를 출범하고, 인재 양성과 제주 런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상생발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교육부의 사물인터넷(IoT) 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COSS)에 제주도는 주관 광역자치단체로 수도권 대학(세종대, 동국대) 및 비수도권 대학(대전대, 제주대, 제주한라대)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했으며, 지난 5월 최종 선정됐다.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COSS, Convergence and Open sharing System)은 대학 간 융합·개방·협력을 통한 첨단분야 미래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구축 사업이며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한다.
이날 행사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 세종대 엄종화 총장, 동국대 최응렬 부총장, 대전대 남상호 총장, 제주대 김일환 총장, 제주한라대 김성훈 총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협약으로 참여 기관들은 △계절학기 학점교류 제도를 활용한 런케이션 운영 및 지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구축 협력 △첨단분야 교육 관련 인적·물적 자원과 상호 공동 활용 등을 추진한다.
제주도는 ‘글로벌 K-교육·연구 혁신도시’ 조성을 목표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혁신융합대학사업은 이관기간을 거쳐 2026년부터 지역 RISE 체계에 편입된다.
특히 제주도는 중앙대, 경희대에 이어 이번 5개 대학과의 협약으로 타지역 대학생의 런케이션 유치를 확대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첨단분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협업모델도 구축할 계획이다.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사업단은 제주에서 오는 12월 20일부터 23일까지 3박 4일간 ‘인 제주 챌린지(In Jeju challenge)’를 열고 동계 계절학기 과정을 개설 운영해 타지역 학생들의 제주 방문 기회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오영훈 지사는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은 수도권과 지역의 경계를 허물고 대한민국의 첨단 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디지털 대전환과 글로벌 K-교육·연구 혁신도시 비전 실현의 동력으로 삼아 제주를 청년들이 꿈이 실현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도외 참여대학 총장과 사업단장 등은 제주사랑기부제에 동참하며 제주사랑을 실천했다.
2024년 11월 13일
사물인터넷혁신융합대학(IoT COSS)은 지난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제주 서귀포 히든클리프에서 90여명의 교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사물인터넷혁신융합대학 전체 교직원 전략 공유 및 성과 향상 워크숍’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IoT COSS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의 일환으로 세종대학교를 주관 대학으로 하고 동국대학교, 대전대학교, 제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의 4개 참여 대학과 제주특별자치도를 참여 광역지자체로 하는 사물인터넷 분야 융합인력 양성 사업을 위한 컨소시엄이다.
이번 워크숍에는 사업에 참여하는 5개 대학과 제주특별자치도의 교수진, 연구원 및 담당 공무원등 약 90여명의 참석해 IoT COSS의 비전을 공유하고 협력 강화를 통한 사업의 성공적 추진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사업단 총괄단장인 세종대 김재호 교수는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은 지능IoT 분야의 혁신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하고 각 대학과 제주도의 협력 강화를 통해 더욱 풍부한 교육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특별자치도 고윤성 과장은 축사를 통해 “제주도 디지털 대전환의 여정에 지능형 사물인터넷분야 핵심 미래인재를 육성하는 IoT COSS 사업단의 역할을 크게 기대한다”면서 제주도와 협력해 지역사회의 현안을 선도적으로 해결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행사를 진행한 IoT COSS 사업단 신예은 팀장은 “전체 교직원 워크숍을 통해 사업단의 비전을 다지고 대학 간의 협력과 네트워킹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으며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IoT COSS는 앞으로도 정기적인 워크숍과 협력 행사를 통해 지산학 협력 연계를 강화하고 디지털 혁신을 위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2024년 11월 1일
[보안뉴스 원병철 기자] 사물인터넷혁신융합대학사업단(이하 IoT COSS, 단장 김재호)과 한국인터넷정보학회(이하 KSII, 회장 김광훈)는 2024년 10월 25일, 교육부가 지원하는 ‘첨단분야(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사업’과 관련된 전문 인력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의 공동 추진을 위한 상호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능형 사물인터넷(IoT) 분야에서의 첨단 융합 인력 양성과 학문 발전을 위한 인적 교류와 협력 프로그램의 확대를 목표로 한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지능형 사물인터넷 기술과 관련된 교육 및 학술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며, 이를 통해 연구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학술 교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기로 했다. 또한 지능형 사물인터넷 관련 분야 대학생들의 교육 및 학술대회 참여를 적극 지원해 차세대 인재 양성에 협력할 계획이다.
IoT COSS 단장 김재호 교수(세종대)는 “이번 협약을 통해 지능형 사물인터넷 분야의 첨단 기술을 선도할 인재 양성의 기반을 마련하고, 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KSII 회장 김광훈 교수(경기대)는 “이번 협력이 사물인터넷 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국가적인 디지털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은 긴밀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지능형 사물인터넷 분야에서의 다양한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첨단 기술 인재 양성과 학문적 교류에 기여할 전망이다.
[원병철 기자(boanone@boannews.com)]
2024년 10월 28일
[서울=뉴시스]문효민 인턴 기자 = 세종대(총장 엄종화)가 주관대학으로 참여하는 사물인터넷혁신융합대학사업단이 인도·태평양·유럽지역 ICT 분야 협력연구 프로젝트인 INPACE 프로젝트와 공동으로 '국제 디지털 기술·정책 심포지엄'을 21일부터 22일까지 양일간 세종대 대양AI센터에서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 사물인터넷혁신융합대학사업단과 INPACE 프로젝트는 사물인터넷 기술 협력과 혁신 교육 강화를 위한 글로벌 디지털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사물인터넷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교육부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의 일환으로 첨단분야 교육 시스템 개방과 공유를 통한 사물인터넷 분야 미래 핵심 기술융합 인재를 주도적으로 양성하는 전담 기구다.
세종대를 주관대학으로 동국대, 대전대, 제주대, 제주한라대 등 4개 국내 대학이 참여한 컨소시엄이다.
INPACE 프로젝트는 ICT 분야를 중심으로 하는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와 유럽연합간 디지털파트너십에 대한 협력 증진을 위한 협의체다.
참여국별 대표 대학, 연구소 등 21개 기관의 컨소시엄으로 인태지역에서는 한국 세종대를 포함해 일본 국립동경대, 싱가포르 국립싱가포르대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유럽연합, 인도,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의 정책과 기술 분야 전문가가 참석해 첨단 ICT 분야 글로벌 디지털 파트너십 구축 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진행됐다고 세종대는 설명했다.
이번 심포지엄 행사와 연계해 체결된 사업협력 MOU는 사물인터넷혁신융합대학사업단과 INPACE 프로젝트 상호 간 사물인터넷, AI, 5G·6G 네트워크, 사이버보안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디지털 파트너십 기반의 국제 공동 연구와 협력 기회를 모색했다.
나아가 지식의 공유와 학술 교류를 증진하며 향후 컨퍼런스, 심포지엄, 워크샵 등의 공동 개최에 협력하기로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물인터넷혁신융합대학사업단 총괄단장인 김재호 세종대 교수는 "INPACE와의 글로벌 협력 파트너십은 첨단분야 국제 협력연구와 글로벌 대학 간 교육 프로그램을 교류할 좋은 기회"라며 "사업에 참여하는 교수진과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moon@newsis.com
2024년 10월 22일